여행 이야기

양산 통도사(1) - 산문에 들다

돌핀솔(月下 차영달) 2015. 10. 19. 10:13

가을빛이 점차 강렬하여진 2015년 10월 17일.

부산산악포럼의 세번째 불교탐방지인 양산통도사로 찾아갑니다.

 

통도사는 이런 뜻을 지니고 있다고 홈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

해동의 이름난 명승지, 영축산 통도사는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15년(646)에 대국통 자장스님에 의하여 창건된 국내 제일 대가람(大伽藍)이다. 영축산이란 부처님 당시 마가다국 왕사성의 동쪽에 있던 산의 이름이다. 이 산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한 곳으로 유명하며 수행자와 독수리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었기 때문에 영축산이라 불렸다. 그래서 이 산의 모양이 불법을 직접 설하신 인도 영축산과 통한다(此山之形 通於印度靈鷲山形) 해서 통도사라 한다.

또한 “승려가 되려는 사람은 모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아야 한다(爲僧者通而度之)”는 의미에서 통도사라 한다. 이는 통도사의 근본정신을 말한다. 인간과 하늘의 스승이 되고자 출가하려는 자들은 부처님께서 행하시고 손수 실천하신 언행을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익히고 배워야만 승려가 된다는 의미이다. 곧, 한국 불교 계율의 중심지로서 모든 승려들은 이곳에서 계(戒)를 받아서 산문(山門)에 들어서라 하였다.

 
 

그리고 “모든 진리를 회통하여 중생을 제도한다(萬通法度衆生)”는 의미의 통도(通度)는 모든 방편을 동원하여 중생들을 행복하게 하고자 하셨던 부처님의 자비사상을 잘 표현한 이름이다. 보살과 수행자들의 존재 이유는 자기만의 깨달음을 구하는 데 있지 않다. 깨달음을 향하여 진리의 세계로 나가는 동시에 고통 받는 중생들과 함께하는 대비(大悲)의 마음이 있어야 함을 표현한 것이다.

통도사의 탑 · 석등을 위시한 무수한 문화재들 그리고 천혜의 자연과 입지조건 등등. 그리고 그 속에서 불법을 꽃피운 위대한 고승들과 수행자들, 어느 하나 불보살님의 가피력과 창건주이신 신라의 대국통 자장스님의 혜안에 의하지 않은 것이 없는 소중한 불연(佛緣)의 이름이다.

 

그 사찰을 찾아 산문으로 들어갑니다.

마음을 다스려 들어 오라고, 멋진 솔발길과 좋은 글이 우리를 맞이합니다.

 

 

통도사의 100년 전 모습입니다.

 

(다음으로 이어집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 통도사(3)- 절에 들어서서  (0) 2015.10.19
양산 통도사(2) - 가을 물들다  (0) 2015.10.19
장안사(4)  (0) 2015.09.22
장안사(3)  (0) 2015.09.22
장안사(2)  (0) 2015.09.22